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식도가 보내는 SOS 역류성 식도염 증상과 원인 치료방법

by 오꾸세상 2023. 8. 31.

식도가 보내는 SOS 역류성 식도염이란??

역류성 식도염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며 생기는 질환입니다. 식도는 인두와 위를 연결하는 20~25cm 길이의 소화기관입니다. 식도 양쪽 끝에는 수축하고 이완하는 괄약근이 있습니다. 음식을 먹을 때 상부 식도 괄약근은 반사적으로 열립니다. 연동운동이 일어나 하부 식도 괄약근을 통해 위로 전달됩니다. 음식물이 위로 도착하면 위에서 산이 분비되어 소화가 됩니다 하지만 식도의 기능이 저하되어 위에 있어야 할 음식물이나 위액이 식도로 역류하면 식도 점막을 위산이 손상시킵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하부 괄약근이 느슨해져 위 내용물이 역류해 식도에 염증이 생기는 증상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장 질환 중 고질적인 질환으로 현대인들 10명 중 1명 이상이 앓고 있는데 최근 젊은 층에서도 역류성 식도염이 늘 어나고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증상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습니까?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가슴에 화끈거리는 느낌과 통증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들은 때때로 심장 문제로 오인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혼란은 흉골 뒤로 뻗은 식도가 심장에 가깝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대표적인 증상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다른 증상들도 나타납니다. 위산이 위에서 올라와 목구멍이나 입으로 들어가 입안에 신맛이나 쓴맛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식사 중 음식물을 삼키기 어렵고, 위에 있어야 할 음식물이 역류하며, 목에 혹이 생기거나 이물질이 생기는 느낌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두통, 호흡곤란, 소화불량과 같은 추가적인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특정 호흡기 증상이 없이 상습기침 또는 만성기침이 계속되는지 확인합니다. 이제 식도염의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원인

역류성 식도염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잘못된 식사습관과 생활습관이 알려지고 있습니다. 위와 식도 사이에는 하부식도관 괄약근이 있습니다. 하부식도관 괄약근이란 식도와 위사이에 있는 근육으로 음식을 섭취 시 역류하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하부식도 괄약근의 조이는 힘이 약해지거나 부적절하게 열리면 위액이 식도로 역류하게 됩니다. 비만은 복부에 지방 증가로 인해 복부 내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하부식도 괄약근의 기능을 약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과도 한 음주와 흡연은 위의 균형을 깨트려 위산의 분비를 증가시키며 식도의 근육을 이완시켜 역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와 심리적인 이유로 인해 부정적인 감정과 불쾌한 기분이 생기게 되면 자율신경 중 교감신경에 대한 이상으로 신체에 영향을 줍니다. 위장의 근육이 굳고, 하부식도관 괄약근과 횡격막 이 긴장됩니다. 임신 중에는 호르몬 변화와 복부 내 압력이 증가해 역류성 식도염의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치료

역류성 식도염의 약물 치료로는 대표적으로 위산 억제제(PPI)가 주로 사용됩니다. 위산 억제제(PPI)는 위산분비를 억제하고조절합니다. 단기간(4~8주) 정도 사용 시 부작용이 거의 없고 매우 안전하며 효과 적인 약물입니다. 하지만 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하지는 못합니다. 약을 복용하지 않으면 다시 재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재발을 방치하게 되면 반복되는 통증 드물게는 협착, 출혈, 식도선암 까지도 발생가능합니다. 역류성 식도염 재발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꾸준하게 관리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식사습관 및 생활습관을 개선이 중요합니다. 과식을 하지 않고 소량의 식사를 여러 번 자주 먹는 것이 좋습니다. 음식을 급하게 먹는 것보다는 음식을 천천히 오래 씹으면서 식사를 합니다. 불규칙한 식사보단 식사 시간을 규칙적으로 합니다. 식사 후 2~3시간은 바로 눕는 습관은 피합니다. 흡연을 하고 있으시다면 금연을 하고 역류를 유발하는 음식 술(와인, 맥주 등), 커피, 녹차, 탄산음료, 밀가루, 튀김 라면 등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들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복압이 증강하는 벨트, 복대, 등 을 피해야 합니다. 체중 감량 및 유산소운동은 복부 내 압력을 줄여 역류에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